본문 바로가기
동기부여

[노하우] 기억법

by moneyselo2 2024. 2. 21.
반응형

학창 시절에는 공부도 하지 않다가 지금에서야 필요성을 느끼고 기술사공부한다고 쌩고생을 하고 나서 시험을 볼때마다 조금씩 오르는 점수를 보고 희망을 가지다가도 정말 시험을 잘 봤는데... 점수가 낮게 나오면 피가 거꾸로 쏫는다... 
아!!! 이 시험공부를 언제까지 해야 하나?  끝을 볼 수는 있을까?  매번 반복되는 생각, 행동~  하지만 시작했으니 끝내야 하니 또다시 업무를 마치고 책상에 앉는다.
업무 중 받은 스트레스...  부모님에 건강문제로...  가장으로 아이들 챙기는 일, 와이프 챙기는 일...  공부도 하기 전에 너무 많은 잡생각이 든다.  이 많은 생각들을 클리어하고 시작하려하면 이제 피곤해서 졸리다 하~~  그냥 자고 내일부터 할까? 고민고민하다 유튜브보고 뉴스보고 아~~~ 눈 침침하다... 자야겠다. 어쩌면 직장인은 대부분 이렇지 않을까 싶다.
 
매일 그렇지는 않지만 업무를 하며 자가에서 생활이 아닌 숙소 생활이라면 좀더 좋은 환경이지만 말이다.
시험을 준비하는분들이 정말 궁금해하는 건 합격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이다. 그게 무얼까?  나도 무지하게 궁금했다. 매일 학원사이트, 네이버 블로그에 접속해 합격자 수기를 보며 답을 찾고 싶었다.  무조건 학원을 가는 것이 좋지만 지방에 있거나 그렇게 하지 못하는 환경이라면 정량화된 기준이 뭘까? 궁금했다.
준비할 때  합격자에게 물었다.  준비기간은? 준비자료는? 하루공부시간은? 단기합격방법은? 그때 기억으로 여기에 대한 답변은 일반적으로 3년이 소요였고, 준비자료는 용어 200~300문제, 서술 50문제,  하루공부시간은 (1주일에 최소 3일/ 3시간 이상), 단기합격방법(기본사항 암기, 모의고사/ 콜드조인트 없는 연속된 공부) 였던 것 같다.
이런기준을 바탕으로 지금에 난 블로그,전자책,카톡방운영으로 많은 노하우를 같이 함께하고 있다. 하지만 준비할때 정말 궁금했다. 너무너무...
 공부와 담을 쌓은 난 어떻게 이걸해야하나 하고...  어쩌면 내 머릿속에 소프트웨어가 잘 작동해야 되지 않을까 하며 난 어떻게 기억을 잘해야해 하며 기억법이라는 내용을 정리하고 적용해 보았다.  순전히 나만에 방법이니 참고만 하길 바란다. 
단기합격이든 장기합격이든 우리는 합격만 하면된다. 나 자신을 믿고 가면 된다라고 생각한다. 그런 생각을 가지면 된다.
자신감을 가지고 오늘도 자격증 취득을 위해 함께 힘을 합쳐 가보시자구요~

# 기  억  법 #

1. 이해력을 높이는 법

'정리하여 외운다 : 정리된 참고서나 남의 정리노트 활용
'비슷한 정보끼리 비교해서 차이점 명확히
'확실히 이해하고 외운다
'기본서는 1권만 하고 나머지는 참고서로한다
'노트활용: 노트는 핵심단어 위주로 작성
'암기 순서: 중요한 것, 핵심적인 것, 뼈대사항을 외우고 나머지를 외운다
'숲과 나무를 모두 보아야 한다: 대제목을 꼭 보기
'다른 사람과 토론

2. 집중하기

'여러 번 반복보다 한 법 집중학습이 중요
'분위기를 조성 (건강유지, 책상정리, 적당한 운동, 생활단순화)

3. 학습목표정하기

'장기, 단기로 구분한다:  1일, 1주일, 1달 분량을 배정
'범위설정은 시간기준이 아니라 학업량을 목표기준
'장기적으로 여유 있게 단기적으로 빠듯하게 짠다

4. 학습의욕 높이기

'공부목적을 분명히 (미래의 모습을 그려본다)
'할 수 있다는 자신감
'기억대상에 흥미를 갖기(현장에 적용)
'긴장감을 유지(떨어지면 또 해야 한다는 부담감, 가족생각) 
'스스로 격려, 집중훈련

5. 구체적 학습 집중법

'좋아하거나 자신 있는 과목부터 시작
'잡념이 들 때는 기분전환(운동, 명상)
'모든 감각이용(듣고, 말하고 , 쓰고)
'책을 읽을 때 다른 사람에게 설명하듯
'공부가 안될 때는 좋아하는 내용 보고 다시 시작
'시간당 계획을 짜서 활용 :분, 시, 일 계획하여 달성 노력( 1일 최소 5시간)

6. 전공서적을 읽는 요령(고시독서법 /통독-> 정독 -> 속독)

'통독단계: 처음부터 끝까지 읽고 새로운 용어, 전체 체계 잡고 윤곽을 잡는 단계
'정독단계: 세세하게 읽고 정리, 중요 부분은 표시하고 암기 서브노트 만드는 단계, 정독 또한 이해에 치중하고 암기나 문제풀이는 두 번째 정독
'속독단계: 정독이 끝난 책을 다시 복습, 이해와 암기 사항을 확인하며 읽기, 중요 부분(많이) , 취약 부분(대충, 생략), 정독단계의 표시내용을 이용하여 읽기

- - - 공부가 안될 때 과감하게 쉬는 것도 미래집중을 위한 투자 - - -

 
 

반응형

'동기부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은 행복  (1) 2024.05.02
[삶]행복한 하루를 사는법~  (1) 2024.03.21
[삶]살면서 비워야하는 3가지  (2) 2024.02.01
[삶] 새벽 기운을 받다  (1) 2024.01.30
[시작]새롭게 기지개를 펴다  (27) 2024.01.2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