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목시공기술사 문제풀이

[토목시공기술사]기술사 시험준비 용어문제 풀이(콘크리트-1.물-결합재비)

by moneyselo2 2023. 2. 18.
반응형

1. 콘크리트 물-결합재 비(w/b) 결정방법

문제풀이하는데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 어떤 문제든 아래와 같은 순서로 접근하면 무조건 풀린다.

-1. 질문에 대한 의도확인->2. 공종 따른 기본암기어파악-> 3. 유형파악-> 4. 준비한 item 및 실무 내용적용

1. 질문에 대한 의도파악(방법 알아?)

- 물-결합재 비 결정방법을 물어봤으니 결정방법을 전체 페이지에 49~50%는 결정방법에 대해 답을 해야 함

-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것 압축강도, 내구성기준, 수밀성기준 그중 최소치결정

2. 공종 따른 기본암기어파악(콘크리트)

- 기본암기어: 재료(C, W, G, S, 혼화재료), 배합(시방, 현장), 시공(계, 비, 운, 타, 다, 양, 이, 마, 철, 거, 동), 강도(조기, 압축)

-공종 관련 암기어 중 어느 부분인지 파악 후 문제를 풀어나간다. 이문제는 배합에 관련문제이고 시방배합 시 필요한 내용이다. 콘크리트는 소요에 강도, 내구성, 수밀성을 갖추면서 경제적인 배합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이런 인자를 적용하여 물-결합재 비를 결정하게 된다.

3. 유형파악

-시험방법 or 미영 -> 시험방법으로 풀이하면 방법, 적용성, 주의사항으로 풀이, 미영이라면 위 내용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 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으로 풀이한다.

4. 준비한 item 및 실무 내용적용

- 위내용 중 시험배치결정 그래프가 준비한 아이템이고 실무 내용은 현장에 주요 구조물 시방배합값이 있을 것이다. 교량, 옹벽, 지하차도, 케이슨, 박스 등 구조물에 적용한 값을 기록하며 결정값에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했던 행위들을 논하면 좋은 점수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5. 왜 물-결합재 비를 최소화하는가?

- 요구하는 강도를 확보하며 결합재량을 줄여 경제성을 향상하고 시공한 구조물은 결함, 손상, 열화 최소화하기 때문이다.

다음시간에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 성질에 대해 풀이해 보도록 하겠다.

반응형

댓글